저번 포스팅에서는 타인의 호감을 사는 방법을 알아봤다면, 이번에는 비호감을 살 수 있는 방법들을 알아보겠습니다.
1. 웃기고 싶어서 안 달나 있다.
표현이 좀 그렇지만, 제가 겪었던 사람에 관한 얘기입니다.
타인을 웃기는 것에만 초점을 맞추고, 남들의 눈치나 전체 상황을 보지 못하는 사람이 제 근처에 있었습니다.
안타까운 말이지만, 사실 별로 웃기지도 않았습니다.
이런 부류의 분들은 자기가 마치 개그맨인 것 마냥 하루 종일 머릿속으로 남을 웃기는 생각만 열심히 하는 것 같습니다.
타인을 재밌게 해 주고, 전체 분위기를 좋게 만드는 것은 정말 환영입니다만,
남의 눈치를 살피지 않고, 맥락에 어울리지 않는 표현과, 상대방을 배려하지 않는 말을 한다는 것은 정말 최악입니다.
웃기기 위해 남을 깍아내리거나, 남을 이용하거나 모두 같은 부류입니다.
웃기고 싶은 열망이 강하다는 것은 알겠지만, 타인의 기분을 고려치 않고, 자신의 개그욕심만 낸다면, 저는 개인적으로
좋은 행동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타인을 웃기는 것보다 타인의 기분을 상하지 않게 배려하는 것이 더욱 중요합니다.
2. 잘되면 내 탓, 안되면 니탓
제목만 들어도 숨이 막 합니다.
책임은 회피하고 싶지만, 공은 가로채고 싶은 심리일까요?? 일이 틀어지거나 잘못되면 남 탓할 대상부터 찾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한두 번은 그냥 그러려니 하지만, 이것이 반복된다면, 그런 사람의 심리는 여러 사람들에게 눈에 바로 띄게 마련입니다. 자기가 한 일에 대해서 책임을 지는 것은 어른이 된 우리들의 마땅한 책임입니다.
사회를 구성하는 모두가 자신이 감당해야 하는 책임이 있고, 그것을 피하지 않고 자신이 짊어지는 사람들을 보고 우리는 책임감이 있는 멋진 사람이라고 표현합니다.
보다 멋진 사람으로 성장하기 위해서 자신이 맡은 책임을 다하는 성숙한 어른이 되도록 노력합시다.
3. 이미 지나간 일이나 실수를 계속해서 꼬투리 잡을 때
사람은 미완성의 동물입니다.
그렇기에 성장하는 맛이 있습니다.
사람은 사람이기에 모두 실수하기 마련입니다. 한 번의 실수도 없이 꾸준히 완벽한 사람은 정말 없을 것입니다.
실수를 통해서 배우고, 더 발전하면 그것으로 성숙한 사람이 될 수 있습니다.
실수하지 않는 게 어쩌면 발전이 없다는 방증일 수도 있습니다.
문제는 이미 발생해버린 실수에 대해서 의견을 피드백을 주는 것이 아니라,
감정적으로 그 실수 때문에 자신이 얼마나 화가 났었는지 되풀이해서 이야기하는 것입니다.
내가 하는 모든 말에는 감정이 실리기 시작하면 비판이 아니라 비난이 됩니다.
실수한 사람을 정말로 위한다면, 객관적으로 문제를 어떻게 하면 예방할 수 있는지 조언해줘야 합니다.
조언도 한두 번만 하시고, 더는 과유불급입니다.
4. 거짓말이 걸리면, 만회하기 위해서 더 큰 거짓말을 하는 사람.
저는 어릴 적에 거짓말을 하면 아버지께 정말 크게 혼났습니다.
딴게아니고, 거짓말을 하면 그 어떤 잘못 보다도 크게 혼났습니다. 그렇게 크면서 거짓말을 하지 말아야겠다는 생각을 어려서부터 하게 되었습니다. '도둑이 제 발 저린다' , 거짓말쟁이가 받는 가장 큰 벌은 그 사람이 진실을 말했을 때에도 다른 사람들이 믿어 주지 않는 것이다, 피노키오 이야기 등등 여러 가지로 거짓말에 관한 교훈은 많습니다.
그런데, 주변에 보면 심심치 않게, 뻔히 들킬만한 거짓말을 일삼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거짓말이 발각된다면, 그 상황에서의 최상책은 잘못을 인정하고 진심으로 사과하는 것입니다.
그렇지 않고, 그 거짓을 덮기 위해 또 거짓을 한 스푼 추가한다면 사과 한마디에 쉽게 넘어갈 수 있었던 일이
걷잡을 수 없이 커집니다. 이것이 더 큰 문제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거짓말을 제쳐두더라도 그 사람 자체가 비호감이 돼서 인간관계를 망치는 시발점이 됩니다.
거짓말은 신뢰를 갉아먹기 때문에, 하지 않는 것이 최상책입니다. 어렵게 쌓아 올린 신뢰도 거짓말 한 번이면, 순식간에 사라지게 마련입니다. 악순환의 고리가 한번 만들어지면, 쉽게 끊기가 어렵습니다. 특히 사람에 대한 인상이 그렇습니다. 진실되고 정직한 사람이 되도록 노력합시다.
(우리 모두 완벽할 수는 없지만 하루하루 더 나아질 수 있습니다.)
본 포스팅은 책 '인생은 실전이다'를 참고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