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NP ( 국내총소득)
(Gross모두모은것 National국민 Product생산물)
>>> 한 나라의 국민이 기준 국내와 국외의 활동하는 국민이 만들어낸 모든 생산의 합 (류현진,손흥민의 소득 포함)
GNI ( 국민총소득 ) (각나라 국민들의 생활수준 우리나라 3만불)
(GNI; Gross National Income)
한 나라의 국민이 일정 기간 생산활동에 참여한 대가로 벌어들인 소득의 합계
국민총소득은 한 나라의 국민이 생산활동에 참여한 대가로 받은 소득의 합계로서 외국으로부터 국민(거주자)이 받은 소득( 국외순수취요소소득 )은 포함되고 국내총생산 중에서 외국인에게 지급한 소득( 국외순수취요소소득 )은 제외 된다. 한편, 국내총생산은 국내에 거주하는 모든 생산자가 생산한 부가가치를 합산한 것이므로 국외거래에 의하여 발생하는 생산은 고려하지 않아 양자는 국외순수취요소 소득 만큼의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즉, 국민총소득(GNI)은 국내총생산(GDP)에서 ( 국외순수취요소소득 ) 을 더하여 산출할 수 있다.
대체재
( 재화 중에서 같은 효용을 얻을 수 있는 재화 )이다. 경쟁재라고도 한다. 예를 들면 버터와 마가린, 쇠고기와 돼지고기 등은 서로 대체재이다. 일반적으로 대체관계에 있는 두 재화는 하나의 수요가 증가하면 다른 하나는 감소한다.
더블딥
두 번이라는 뜻의 'double'과 급강하하다라는 뜻의 'dip'의 합성어다. 불황에 빠져있던 경기가 일시적으로 회복되었다가 다시 침체되는 경제현상을 가리키는 용어다. 경제성장률의 진행 모습이 알파벳 W자를 닮았다고 하여 'W자형 경기 침체'라고도 한다. 이러한 현상은 경기침체기 후반에 실업의 누적으로 소득이 감소하면서 소비가 생산을 뒷받침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다시 불황이 발생하는 것이다. 우리말로 「이중 침체」, 「이중 하락」 등으로 번역된다.
디커플링
국가와 국가, 또는 한 국가와 세계의 경기 등이 같은 흐름을 보이지 않고 탈동조화되는 현상.
디커플링(decoupling)은동조화의 반대의미로 비동조화(탈동조화)를 의미한다. 커플에서 이탈된 것이다.
동조화(coupling)의 반대 개념이다. 한 나라 또는 일정 국가의 경제가 인접한 다른 국가나 보편적인 세계경제의 흐름과는 달리 독자적인 경제흐름을 보이는 현상을 말한다. 크게는 국가경제 전체에서, 작게는 주가나 금리 등 국가경제를 구성하는 일부 요소에서 나타나기도 한다. 수출과 소비, 주가하락과 환율상승 등과 같이 서로 관련있는 경제요소들이 탈동조화하는 현상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 요즈음에는 기업의 전략을 설명하는 용어로도 사용된다.
예로 우버는 자동차의 사용 부분만을 고객에게 제공하고, 트위치는 게임 스트리밍 부분만 강조 운영하는것이다 다소 소강생태에 있는 사업의 고리를 끊어내고 특정 부분을 특화시키는 전략이다 기차운행? 과 비슷 )
디플레이션
경제 전반적으로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현상을 디플레이션(deflation)이라고 한다. 경제의 한 부문에서 가격이 하락하는 현상은 디플레이션이 아니다.
예를 들어 농산물 가격이 하락하는 현상을 디플레이션이라고 하지는 않는다. 디플레이션은 물가수준이 하락하는 상황으로 (인플레이션율이 0% 이하(마이너스 인플레이션)이면 디플레이션이다.)
레버리지 효과
기업이나 개인 사업자가 차입금 등 타인의 자본을 지렛대처럼 이용하여 자기 자본의 이익률을 높이는 일.
차입금과 같은 타인의 자본을 지렛대로 삼아 자기자본 이익률을 높이는 것을 말하며, 지렛대효과라고도 한다. 레버리지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타인의 자본을 사용하여 얻은 수익률이 타인의 자본을 빌릴 경우의 금리비용보다 높을 경우엔 타인의 자본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 그것이 레버리지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주의해야 할 점은 시장의 금리변화에 주목해야 한다는 점이다. 상대적으로 금리가 낮은 시기에 과도하게 금액을 차입했는데 갑작스런 시장상황의 악화로 금리가 상승하게 되면 그만큼 부담도 늘어나 도산의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융 문맹 탈출하기 (7) (0) | 2022.04.29 |
---|---|
금융 문맹 탈출하기 (6) (2) | 2022.04.28 |
금융 문맹 탈출하기 (4) (1) | 2022.04.26 |
금융 문맹 탈출하기 (3) (2) | 2022.04.25 |
금융 문맹 탈출하기 (2) (1) | 2022.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