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과 독서와 더불어서 중요한 일상이자 사람이라면 항상 필요로 하는 수면 시간에 관한 포스팅입니다.
적정한 수면시간은 몇 시간인지, 어떤 점에서 잘 자는 것이 중요한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숙면 부족은 수명을 줄어들게 한다.
스탠퍼드 대학교 의학부 정신과 니시노 세이지 교수는 건강을 망치는 습관 중 하나로 '숙면 부족'을 지목했습니다.
캘리포니아 대학 연구팀이 110만 명을 대상으로 수면 시간을 조사했습니다.
그 결과 평균 수면 시간은 남녀 모두 7.5시간이었습니다.
연구팀은 6년에 걸친 추적 조사를 통해 수면 시간과 사망률의 관계를 조사했습니다.
사망률이 가장 낮은 수면 시간은 약 7시간이었습니다.
반면에 수면 시간이 짧은 사람에 속하는 3시간만 자는 사람들의 경우 사망률이 1.3배 높았습니다.
더불어 수면 시간이 7시간보다 긴 사람들도 사망률이 상대적으로 높았습니다.
연구의 결과로는 최소 7시간을 자는 게 가장 좋다고 합니다.
건강을 위해서라도 수면 시간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습관을 길러 몸이 가장 좋은 컨디션을 유지하도록 노력해봅시다.
2.
매일 아침 더 많은 에너지를 확실하게 얻기 위해서.
때때로 사람들은 성공과 성취를 위해 잠을 줄이고자 하지만, 사람은 적정 수면 시간인 7시간 이상을 꼭 자야 합니다.
그렇지 않을 경우에 수면 부족이 부채로 이어져 업무 능력 저하, 짜증, 초조함이 일어나고, 더 심해지면 각종 질환이 발생하게 됩니다.
니시노 세이지 교수는 수면이 단순한 휴식과 다르다고 조언했습니다. 우리가 자는 동안 뇌에서는 글림프 시스템이라는 활동이 일어나는데, 이는 뇌의 노폐물을 씻어내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숙면은 건강 관리는 물론 공부를 잘하기 위한 필수 요건이 됩니다. 실제로 잠을 충분히 잔 그룹이 기억을 더 잘한다는 사실이 여러 연구를 통해 밝혀졌습니다.
성공과 성취를 원한 다면 잠자는 시간을 줄일게 아니라, 깨어있는 동안의 시간의 효율성을 극대화해야 합니다.
잠이 제공하는 재충전과 회복의 기회는 매우 매우 소중합니다.
3.
인생의 1/3을 완벽하게 사용하기 위해서
우리는 인생의 1/3을 자는 데 사용합니다. 세계 보건기구에 따르면 건강을 위해서는 평균 8시간을 자야 하지만, 선진국을 포함한 대부분 나라는 성인의 2/3가 권장 수면 시간을 채우지 못한다고 합니다.
수면 분야 1등 과학자인 매슈 워커는 꿀잠을 자기 위한 3가지 조언을 해주었습니다
(1) 수면 시간표를 지켜야 합니다.
수면 시간은 일정해야 좋습니다. 깨어나는 시간뿐만 아니라 수면을 취하는 시간까지 일정하게 유지합시다.
평일과 주말의 차이는 1시간 이내로 조정하는 편이 좋습니다.
(2) 너무 늦게 운동하지 말 것
운동은 잠들기 2~3시간 전에 끝내는 것이 좋습니다.
운동할 경우 체온이 증가해서 수면에 방해가 될 수 있습니다.
저는 근데 이것은 잘 못 지키고 있습니다. 퇴근하고 시간이 헬스장을 갈 수 있는 유일한 시간이어서 웬만하면 퇴근 후에 헬스장에 가고 있습니다 ㅎㅎ
(3) 카페인과 니코틴을 피하자
몸에 들어온 카페인이 사라지는 데에는 8시간 이상이 걸립니다. 내가 만약 밤 12시에 잔다면,
오후 4시 이후로는 카페인을 피해야 합니다.
늦은 오후 이후로는 가급적 카페인 음료 섭취를 피합시다. 또한 니코틴은 금단 증상이 있어서 아침에 일찍 잠에서 깨게 만듭니다.
4.
매일매일 뇌 효율을 최고로 높이는 가장 간단한 비결
최근 과학 연구에서는 뇌척수액이 뇌 안을 돌아다니면서 세포에 쌓여 있는 노폐물을 씻어낸다는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깊은 숙면을 취할 때면 뇌 청소 과정이 깨어있을 때보다 20배나 빨라집니다. 잠을 푹 잔 다음 날 개운하게 느껴지는 이유입니다.
한 가지 주의할 점은 자기 전에 무언가를 먹지 않는 것입니다.
자기 전에 무언가를 먹으면 소화를 위해 혈액이 모두 위로 쏠리게 됩니다. 그러면 뇌로 갈 혈액이 충분하지 않아 뇌 청소 작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뇌 효율을 최고의 상태로 올리기 위해서, 최고의 숙면을 이루기 위해 노력해봅시다.
자기 전에 먹지 않기, 스마트폰 멀리하기 등등 생활 습관만으로도 충분한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점을 꼭 기억합시다!
'자기계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자가 되기 위한 심리 (4) | 2022.04.05 |
---|---|
잦은 이직의 단점 (0) | 2022.03.20 |
운동, 꼭 해야 되는 이유 또 모았습니다...!! (0) | 2022.03.13 |
운동, 꼭 해야 되는 이유 또 모았습니다..! (0) | 2022.03.12 |
운동, 꼭 해야 되는 이유 모았습니다. (0) | 2022.03.11 |